[Git] Git & GitHub 버전 관리와 협업의 이해
·
추가 공부/Git
1단계 : 로컬 버전 관리개인 PC에서 Git을 사용하여 프로젝트의 변경 사항을 추적하고 관리한다.코드 수정 내역을 시간순으로 기록하고, 필요할 때 이전 버전으로 되돌릴 수 있다.이는 마치 문서의 여러 버전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과 같다. 2단계 : 원격 저장소 활용GitHub에 개인 저장소를 만들어 로컬 프로젝트를 백업한다.이를 통해 다른 기기에서도 작업할 수 있고 코드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.또한 포트폴리오로 활용하거나 다른 개발자들과 코드를 공유할 수 있다. 3단계 : 팀 협업GitHub의 Oraganization 기능을 활용하여 여러 개발자가 프로젝트를 진행한다.각자 맡은 부분을 개발하고, Pull Request를 통해 코드 리뷰를 진행하며,브랜치 전략을 활용해 체계적인 개발이 가능하다.이런 단..
[Git] Git Repository 생성
·
추가 공부/Git
echo "# README 내용 작성" >> README.mdgit init git add README.mdgit commit -m "Commit 내용"git branch -M maingit remote add origin Http 깃 주소git push -u origin main echoecho "# README.md 내용 작성" >> README.mdREADME.md 파일을 생성하고 그 파일에 # 텍스트를 추가합니다.이 파일은 사용자가 프로젝트에 대한 정보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설명서입니다.git init현재 디렉토리를 새로운 Git 저장소로 초기화합니다. 이 명령어를 실행하면 .git이라는 숨겨진 폴더가 생성되고,이 폴더는 저장소에 대한 모든 정보와 메타데이터를 저장합니다...
개발자가 되고 싶은 곰